카테고리 없음

하와이ㅡ 호놀룰루 해변

여행읏쨔 2023. 6. 11. 12:41
728x90
728x90

 

 

 

 

 

 

 

 

 

수도는 호놀룰루이다. 샌프란시스코의 서쪽 3,857㎞ 지점의 8개의 주요섬과 124개의 작은 섬들로 구성된다. 지형이 험해서 분지나 호수가 드물다. 온화한 열대기후이며, 산악지대는 매우 서늘하다. 폴리네시아 원주민들이 왕국을 이루어 살고 있었으나1851년 미국의 보호령이 되었고, 1900년 미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1959년에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다. 미국의 주로 승격한 뒤 주 산업이 관광으로 바뀌면서 곳곳에 리조트를 비롯한 관광시설이 들어섰으며, 2006년에는 하와이 국립해양보호구역이 지정되었다.

하와이목차 펼침
공유검색 및 메뉴
다음백과
하와이
Hawaii
요약
주도는 호놀룰루이다. 샌프란시스코의 서쪽 3,857㎞ 지점의 8개의 주요섬과 124개의 작은 섬들로 구성된다. 지형이 험해서 분지나 호수가 드물다. 온화한 열대기후이며, 산악지대는 매우 서늘하다. 폴리네시아 원주민들이 왕국을 이루어 살고 있었으나1851년 미국의 보호령이 되었고, 1900년 미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1959년에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다. 미국의 주로 승격한 뒤 주 산업이 관광으로 바뀌면서 곳곳에 리조트를 비롯한 관광시설이 들어섰으며, 2006년에는 하와이 국립해양보호구역이 지정되었다.

인구 1,410,000명 (2020년 추계)
면적 28,311 km²
언어 영어, 하와이어
대륙 북아메리카
국가 미국
하와이
하와이

ⓒ Lorcel/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요
미국의 50번째 주. 샌프란시스코의 서쪽 3,857㎞ 지점에 있다. 주도는 호놀룰루이다. 폴리네시아인들의 왕국이 있었으나 서구 열강의 각축 끝에 미국의 보호령이 되었다가 1900년 미국의 영토가 되었고, 1959년에는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다. 미군의 태평양 함대 기지가 있다. 사탕수수 등의 농업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천혜의 자연을 바탕으로 관광지로도 유명하다.

지리와 자연
하와이 제도는 연속된 화산들의 봉우리가 바다 위로 솟아올라 형성된 8개의 주요섬과 124개의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유년기 지형지대에서는 비교적 반구 형태를 띠고 조금 오래된 지대에서는 깊게 홈이 팬 깎아지른 듯한 절벽들과 동굴, 깊은 계곡, 해안평원이 있다. 전반적으로 지형이 험해서 분지나 호수가 드물다.

하와이는 온화한 열대기후로서 종종 이상적인 기후로 묘사된다. 번화가인 호놀룰루의 평균기온은 22~26℃이며, 산악지대는 매우 서늘하고 특히 겨울에는 차갑다. 강우량은 지역별 차이가 심한데, 세계 최다강우지역으로 불리는 와이알레알레 산의 연평균강우량은 1,280㎜이지만 카와이하에는 230㎜도 안 된다.

역사
하와이의 원주민은 마르키즈 제도에서 유입된 폴리네시아인으로 400년경에 이미 하와이 제도에 건너온 것으로 추정되며, 그보다 400~500년 뒤에 타히티 섬에서 또 한 번의 대규모 이주가 있었다. 1778년 유럽인으로서 처음 하와이 제도를 발견한 것으로 공인되고 있는 제임스 쿡 선장은 이 제도를 샌드위치 제도라고 명명했다. 1796년 카메하메하 1세가 제도 전체를 지배하는 군주가 된 뒤, 19세기에는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인 하와이의 이름을 따서 하와이 제도 또는 샌드위치 제도라 불리기도 했다.

1820년 뉴잉글랜드에서 최초의 선교사가 들어온 후 서구문화의 영향으로 변화가 시작되었다. 1840년에는 미국과 영국의 여러 법안을 본떠서 만든 헌법이 채택되었으며, 미국·프랑스·영국에 의해 하와이 왕국의 독립이 승인되었다.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는 하와이에 대한 지배권을 장악하기 위해 계속 음모를 꾸몄으며, 1851년 카메하메하 3세에 의해 하와이 제도는 미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1887년 미국은 진주만을 해군기지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많은 하와이인들과 미국인 이해관계자들은 하와이 제도의 미국 합병을 지지했으나, 그로버 클리블런드 대통령 등은 이를 반대했다. 결국 미국인 설탕산업 관계자들의 선동으로 쿠데타가 일어나 군주제가 전복되고 1893년 하와이 공화국이 건설되었다. 1898년 이 공화국과 미국은 합병에 동의했고, 1900년 미국의 영토가 되었다. 미국 해군 태평양 함대의 주요기지가 된 뒤 1941년에 진주만의 미국 해군 시설을 일본이 공격하자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 참가하게 되었다. 세계대전이 끝난 후인1959년 하와이는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다.

미국의 주로 승격한 뒤 하와이의 인구가 급격하게 늘었으며, 관광객도 급증했다. 1962년에는 호놀룰루 공항이 국제 수준으로 확장되었고, 1970년대 들어서서 일본 등의 외국 자본이 유입되면서 하와이 섬, 카우아이 섬, 마우이 섬, 몰로카이 섬에 새로운 리조트 시설들이 들어섰다. 반면 그동안 하와이의 주된 산업이었던 사탕수수 농장 등의 1차 산업은 비중이 급속도로 줄어들었다.

1992년의 허리케인 이니키의 강습은 하와이 전체에 대규모의 피해를 입혔으며, 농장 등의 기반 산업의 감소에도 큰 원인이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자 농업은 거의 명목만 유지될 정도였으며 주된 산업은 관광으로 바뀌었다. 2006년 노스웨스턴 하와이 국립해양보호구역이 지정되었으며, 2007년에 파파하나우모쿠아케아 국립해양보호구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산업과 경제
하와이 경제에서 농업의 비중은 여전히 제일 크다. 하와이는 미국의 최대 사탕수수 생산지 가운데 하나이며, 파인애플도 중요한 환금작물이다. 그밖에 수수·옥수수가 널리 재배되며, 중요한 광물자원은 전혀 없다. 정유공장, 강철제작소, 몇 개의 시멘트 공장, 콘크리트로 만드는 파이프 공장, 알루미늄 제작소 등의 중공업 시설물들이 있다. 통조림산업도 중요하다.

그러나 하와이 경제에서 비중이 가장 큰 산업은 관광업이며, 제2의 수입원은 연방정부 공영산업으로 방위관련산업이 그 대부분을 이룬다. 가장 중요한 수송수단은 해양선박이며, 호놀룰루 항이 주요항구이다. 그밖에 3개의 주요 민간비행장이 있고, 도로망이 잘 발달되어 있으나 이렇다 할 철도망은 갖추어지지 않았다.

사회와 문화
하와이 원주민 수는 1778년에 약 30만 명으로 추산되었으나 1853년에는 7만 명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1854년부터 사탕수수를 비롯한 플랜테이션 농장이 성행하면서 중국, 일본, 포르투갈, 한국, 푸에르토리코, 필리핀 등 외국인 이민자들이 하와이에 대거 유입되어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1898년 미국이 하와이를 미국의 영토로 병합했을 때 인구는 약 15만 명으로 늘어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을 치르면서 하와이가 미군의 중요한 태평양 기지가 되자 군인들을 비롯한 유입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1959년 미국의 50번째 주로 승격한 뒤에는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2000년에는 121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2010년에는 140만 명을 넘어섰는데 같은 기간 미국 다른 주 인구 증감율의 2배에 이르는 증가율을 보였다. 하와이 주 인구의 대부분이 오아후 섬에 거주하고 있으며, 특히 60% 정도가 호놀룰루 도심지역에, 20%가 호놀룰루의 교외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호놀룰루는 태평양 버니스 P. 주교박물관과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의 하와이 예술품이 소장된 호놀룰루 예술원, 그리고 하와이 원주민으로 유명하다. 극장, 콘서트 홀, 원형경기장을 갖춘 시립종합공연단지인 닐 블레이스덜 센터가 있고, 독특한 교육기관으로 연방정부가 후원하는 동서 문화·기술 교환연구소가 있다. 영어·일본어·중국어판 일간지들이 발행되고 있다.

주요 관광지
하와이에는 하늘이 내린 자연 조건에 집중적인 관광 자원과 시설 개발로 많은 관광 명소가 있다. 할레아카이아 국립공원, 푸호누아오호나우나우 국립역사공원, 칼로코오노코하우 국립역사공원, 하와이 화산국립공원 등의 국립공원, 나팔리코스트 주립공원, 와이아나파나파 주립공원, 와이메아캐년주립공원, 폴리할레 주립공원 등의 주립공원은 연방정부와 주정부에서 직접 관리하는 자연 공원이다.

호놀룰루, 하나우마, 카나팔리, 카일루아, 하푸나 등의 해변은 하와이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곳이며, 하나카피아이 폭포, 아카카 폭포, 마노아 폭포, 와일루아 폭포 등은 대표적인 폭포이다. 야생동물 서식지인 라나이고양이보존지구, 하나우마 자연보존지구 등이 있으며, 하나라바 동굴, 카우마나 동굴, 쿨라카이 동굴, 마카우와히 동굴도 유명하다.

진주만 해군 기지의 역사성을 살린 퇴역함과 유적으로 구성된 USS애리조나 기념관, 미주리함 기념관, USS보우핀 잠수함 박물관, 비숍 박물관, 토마스 자가 박물관 등의 박물관과 각종 갤러리도 관광객이 즐겨 찾는 코스이다. 마우이족 상점가에서는 전통상품과 벼룩시장을 만날 수 있다.

호놀룰루 해변

호놀룰루 군의 군청소재지이며 현대적인 시이다. 오아후 섬의 남동쪽 해안선을 따라 16㎞, 내륙 쪽으로 평야를 가로질러 쿨라우 산 기슭까지 6.4㎞ 뻗어 있다. 태평양 횡단 해운과 항공노선의 교차점이며, 하와이 제도의 여러 섬들을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로 주의 상업·공업 중심지이다. 시를 포함한 군은 면적 1,545㎢로 오아후 섬 전체와 몇몇 부속 섬으로 이루어진다.

하와이-태평양 제도 국립야생생물보호구역을 이루는 부속 섬들의 총면적은 7.4㎢에 지나지 않지만 2,080㎞ 이상의 거리에 걸쳐 흩어져 있다. 시는 독자적인 행정체제를 갖추었으며, 주 인구의 약 80%가 이곳에 집중해 있다. 하와이의 전설에 따르면 '보호받는 만'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이곳에 정착이 이루어진 것은 1100년의 일이다. 누아누 강의 모래톱을 통해 해안과 연결되고 샌드 섬이 가로막고 있는 이 항구는 제임스 쿡 선장을 비롯한 초기의 탐험가들이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지나쳤던 곳이다. 1794년 윌리엄 브라운 선장이 비로소 이곳에 들어왔다.

1820년 이후 호놀룰루는 하와이 제도의 섬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섬으로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고, 백단목재 무역업자와 고래잡이 선박의 기지로 발전했다. 1816년 러시아인이 도착했고, 1843, 1849년에 영국인과 프랑스인에게 각각 점령되기도 했지만 하와이의 국왕 카메하메하 3세에게 반환되어 1850년 8월 31일 왕국의 수도로 공식 선언되었다. 1941년 12월 근처의 진주만 해군기지와 함께 일본공군의 공습을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의 주요 전초기지였으며, 6·25전쟁을 거쳐 인도차이나(베트남) 분쟁이 끝난 1973년까지 같은 역할을 했다. 군비가 지금도 중요한 수입원이 되고 있다.

시·군 전역에 파인애플 통조림 공장, 설탕정제소, 의류 공장 등이 있으며, 철·알루미늄·석유·시멘트·낙농제품 등의 생산이 활발하다. 세계적 관광지인 와이키키 해변이 근처에 있으며, 이곳의 국제공항은 미국에서 가장 분주하다. 호놀룰루 시는 주의 교육 중심지로 마노아밸리에 있는 하와이주립대학교(1907)와 1960년에 동서양의 기술 문화 교류를 위해 설립된 이스트-웨스트 센터가 있다. 채미네이드대학교(1955)·하와이퍼시픽대학(1953)·호놀룰루지역사회대학(1920)·카피올라나지역사회대학(1964), 하와이 원주민 혈통의 아이들을 위한 카메하메하 스쿨스(1887) 등도 이곳에 있다.

버니스 P. 비숍 박물관(1889)은 폴리네시아인의 소장품들로 유명하고, 하와이의 대표적인 문화 중심지인 호놀룰루 예술 아카데미(1927)는 광범위한 영역의 예술활동을 지원한다. 내륙으로 1.6㎞ 들어간 지점에 있는 150m의 펀치볼 분화구에는 태평양 국립기념묘지가 있는데, 제2차 세계대전, 6·25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서 죽은 약 2만 4,000명이 묻혀 있다. 호놀룰루 관청지구의 중심부와 넓은 공원에 걸쳐 이올라니 궁전(1882 완공)이 있다. 이 궁전은 현재 박물관으로 쓰이고 있지만 근처에 새 주의회 의사당이 들어서기 전까지는 입법부 건물로 사용되었다.

728x90